TradingView 위젯 코드 사용법

TradingView 위젯 코드 사용법

TradingView 위젯 코드에서 "symbols": [["ARCA:NVDY|1D"]] 부분의 거래소:티커 형식(예: ARCA:NVDY)을 바꾸면 다른 거래소나 종목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요. 이게 TradingView의 강점 중 하나죠 – 글로벌 주식/ETF/암호화폐를 거래소별로 세밀하게 지정할 수 있답니다.간단히 어떻게 바꾸는지 예시:
  • 기본 형식: ["거래소:티커|인터벌"]
    • 거래소: ARCA (NYSE Arca, ETF 많음), NASDAQ (테크 주식), NYSE (대형주), BINANCE:BTCUSD (암호화폐) 등.
    • 티커: NVDY, AAPL, TSLA 등.
    • 인터벌: 1D (일봉), 1W (주봉), 1M (월봉) 등.
거래소 예시
티커 예시
전체 코드 변경 예
ARCA (ETF)
NVDY
["ARCA:NVDY|1D"]
NASDAQ (테크)
NVDA
["NASDAQ:NVDA|1W"]
NYSE (대형주)
JPM
["NYSE:JPM|1D"]
BINANCE (크립토)
BTCUSDT
["BINANCE:BTCUSDT|1D"]
LSE (영국)
BP.L
["LSE:BP.L|1M"]
이걸 코드에 넣으면 위젯이 자동으로 그 종목 차트/개요를 불러와요. 블로그에 여러 개 넣고 싶으면 symbols 배열에 여러 개 추가(예: ["ARCA:NVDY|1D", "NASDAQ:TSLY|1W"])해서 비교 차트도 가능하죠!

NVDY 주식 주봉 차트

TSLY처럼 매주 배당하는 티커 추천 (2025년 10월 기준)

TSLY처럼 매주 배당하는 티커 추천 (2025년 10월 기준)

TSLY (YieldMax TSLA Option Income Strategy ETF)는 Tesla(TSLA) 기반 옵션 전략으로 매주 배당을 지급하는 고수익 ETF로 유명하죠. 비슷한 구조(옵션 인컴 전략, 높은 배당 수익률 50% 이상)의 티커를 중심으로 정리했어요. 대부분 YieldMax 시리즈가 주를 이룹니다. 이들은 주식이나 섹터에 콜 옵션을 팔아 프리미엄을 배당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매주 분배합니다. (참고: 배당은 변동적이며, NAV 하락 위험이 있어요. 투자 전 prospectus 확인 필수.)

1. YieldMax 시리즈 (주간 배당, 옵션 인컴 중심)

YieldMax ETF는 TSLY와 동일한 전략으로, 대부분 매주 배당. 2025년 기준 30개 이상의 티커가 주간 분배를 합니다. 아래는 인기/유사 티커 선별 (기초 자산 포함).

티커
이름
기초 자산
예상 배당 수익률 (2025.10)
비고
TSLY
YieldMax TSLA Option Income Strategy ETF
TSLA (Tesla)
~103%
기준 티커, 주간
NVDY
YieldMax NVDA Option Income Strategy ETF
NVDA (NVIDIA)
~90%
AI 붐으로 인기
MSTY
YieldMax MSTR Option Income Strategy ETF
MSTR (MicroStrategy)
~85%
비트코인 연동
CONY
YieldMax COIN Option Income Strategy ETF
COIN (Coinbase)
~80%
크립토 테마
APLY
YieldMax AAPL Option Income ETF
AAPL (Apple)
~70%
안정적 빅테크
MSFO
YieldMax MSFT Option Income ETF
MSFT (Microsoft)
~65%
클라우드/AI
GOOY
YieldMax GOOGL Option Income ETF
GOOGL (Alphabet)
~60%
검색/AI
AMZY
YieldMax AMZN Option Income ETF
AMZN (Amazon)
~55%
이커머스
AMDY
YieldMax AMD Option Income Strategy ETF
AMD (Advanced Micro Devices)
~75%
반도체
FBY
YieldMax META Option Income ETF
META (Meta Platforms)
~50%
소셜 미디어
PLTY
YieldMax PLTR Option Income Strategy ETF
PLTR (Palantir)
~89%
데이터 분석
MARO
YieldMax MARA Option Income Strategy ETF
MARA (Marathon Digital)
~102%
비트코인 마이닝
YETH
YieldMax ETH Option Income Strategy ETF
ETH (Ethereum)
~98%
크립토 (ETH)
  • 전체 YieldMax 주간 티커: ABNY(ABNB), AIYY(AI), BABO(BABA), BRKC(BRK.B), CRCO(CRCL), CVNY(CVNA), DISO(DIS), DRAY(DKNG), GDXY(금광), GMEY(GME), HIYY(HIMS), HOOY(HOOD), MRNY(MRNA), NFLY(NFLX), OARK(혁신), RBLY(RBLX), RDYY(RDDT), TSMY(TSM), XOMO(XOM) 등. Short 버전(CRSH: Short TSLA, DIPS: Short NVDA)도 주간.
  • 펀드 오브 펀드: YMAG(Magnificent 7), ULTY(Ultra Option), GPTY(AI/Tech Portfolio) – 다각화된 주간 배당.

2. 다른 주간 배당 ETF (Roundhill, Rex 등)

YieldMax 외에도 T-bill이나 커버드 콜 전략으로 주간 배당하는 티커가 있어요. TSLY만큼 고수익은 아니지만 안정적.

티커
이름
기초 자산
예상 배당 수익률 (2025.10)
비고
WEEK
Roundhill Weekly T-Bill ETF
단기 국채 (T-bills)
~5%
저위험, 주간 롤오버
XDTE
Roundhill S&P 500 0DTE Covered Call ETF
S&P 500
~15-20%
0DTE 옵션, 주간
QDTE
Roundhill Nasdaq-100 0DTE Covered Call ETF
Nasdaq-100
~18%
테크 중심
RDTY
Roundhill Russell 2000 0DTE Covered Call ETF
Russell 2000
~12%
소형주
MSTW
Rex MSTR Growth & Income ETF
MSTR
~0.09% (저수익)
성장+인컴, 주간
  • 추가: JEPY (Defiance S&P 500 Enhanced Options, ~20%), XYLD (Global X S&P 500 Covered Call, 월간이지만 주간 변형 있음). 전통 주식은 거의 없고, ETF 중심.

주의사항 & 팁

  • 위험: TSLY처럼 높은 수익률은 옵션 전략으로 인해 원금 손실 가능 (NAV decay). 2025년 금리 인하로 T-bill ETF 수익 하락 예상.
  • 확인 방법: Yahoo Finance나 ETF.com에서 "dividend frequency" 검색. 배당 캘린더: DividendChannel.com.
  • 투자 추천: 포트폴리오 10-20% 비중으로 시작. 한국 투자자라면 세금(미국 15% + 국내 15.4%) 고려 (이전 대화 참조).

간단 설명:

  • 역사: 원래 Archipelago Exchange(ArcaEx)로 시작해 2006년 NYSE에 인수됐어요.
  • 주요 역할: 미국 내 ETF 거래량의 대부분(약 80% 이상)을 처리하며, NVDY 같은 ETF가 ARCA:NVDY 형식으로 상장돼 거래됩니다.
  • ETF와의 관계: ARCA 자체는 ETF가 아니지만, 많은 ETF(예: SPY, QQQ)가 이 거래소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혼동될 수 있어요.
TradingView나 주식 앱에서 "ARCA:"는 거래소를 지정하는 접두사일 뿐이에요.
<div class="tradingview-widget-container" style="text-align: center;">
  <script src="https://s3.tradingview.com/external-embedding/embed-widget-symbol-overview.js" type="text/javascript">
  {
    "symbols": [
        ["ARCA:NVDY|1D"]
    ],
    "chartOnly": false,
    "width": "100%",
    "height": "300",
    "locale": "en",
    "colorTheme": "light",
    "isTransparent": false,
    "autosize": false,
    "showVolume": true,
    "hideDateRanges": false,
    "hideMarketStatus": false,
    "hideSymbolLogo": false,
    "scalePosition": "right",
    "scaleMode": "Normal",
    "fontFamily": "Arial",
    "fontSize": "12",
    "noTimeScale": false,
    "valuesTracking": "1",
    "changeMode": "price-and-percent"
  }
  </script>
</div>

미국 주식 배당에 따른 세금: 한국 투자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 (2025년 기준)

미국 주식 배당에 따른 세금: 한국 투자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 (2025년 기준)안녕하세요, 투자 블로거 [당신의 이름]입니다! 요즘 미국 주식 투자가 뜨겁죠?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MSFT) 같은 빅테크 주식의 매력은 안정적인 배당금에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배당금을 받을 때 따라오는 '세금'은 꽤 골치 아픈 부분이에요. 특히 한국 투자자라면 미국 현지 세금과 국내 세금을 이중으로 고려해야 하죠.이 글에서는 미국 주식 배당금에 대한 세금을 단계별로 풀어보고, 2025년 최신 변화(트럼프 관련 법안 포함)와 절세 팁까지 공유할게요. 세금은 매년 변할 수 있으니, 실제 투자 시 세무사 상담을 추천합니다. (참고: 2025년 10월 기준 정보)1. 기본 개념: 배당금 세금의 흐름미국 주식 배당금을 받을 때 세금은 이중 과세 구조로 적용됩니다:
  • 미국 현지 세금 (원천징수세): 배당 지급 시 자동으로 미국에서 떼감.
  • 한국 국내 세금: 받은 배당(세후 금액)을 국내 소득으로 신고해 추가 과세.
왜 이중일까요? 미국은 배당금을 '미국 원천 소득'으로 보고, 한국은 거주자의 전 세계 소득을 과세 대상으로 삼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한미조세조약이 있어 중복을 줄일 수 있어요.2. 미국 현지 세금: 원천징수세 15% (기본 30%에서 감소)미국은 비미국인 투자자(Non-Resident Alien)에게 배당금에 30% 원천징수세를 부과합니다. 하지만 한미조세조약 덕분에 한국 투자자는 15로 줄일 수 있어요.
  • 적용 방법: 증권사(예: NH투자증권, 키움증권)에서 W-8BEN 양식을 제출하면 자동으로 15% 적용. 미제출 시 30%가 떼집니다.
  • 환급 가능성: 2024년 배당 중 일부 종목(현지세율 15% 적용된 경우)은 환급 대상. 2025년에도 비슷하게 진행될 전망입니다. (예: Truefriend.com 안내 참조)
주의! 2025년 변화: 트럼프 행정부의 '보복세' 법안으로, 미국 기업에 불리한 세금을 도입한 국가(한국 포함)의 투자자에게 추가 20%p (최대 35%) 부과를 추진 중입니다. 이는 아직 법안 단계지만, 한국 투자자 1,000만 명에게 직격탄이 될 수 있어요. 법안 통과 시 배당 수익률이 10~20% 줄어들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3. 한국 국내 세금: 배당소득세 + 종합소득세미국에서 15% 떼인 후 받은 금액(세후 배당)을 한국에서 배당소득으로 신고합니다:
  • 기본 과세: 연간 이자+배당소득 2,000만원 이하 → 15.4% (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원천징수. 증권사가 자동 처리.
  • 2,000만원 초과: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세율은 14%~42% (누진세) + 지방세 10%. 한미조세조약으로 미국 세금(15%)을 외국납부세액공제(최대 15%)로 차감 가능.
예시 계산 (2025년 기준, 1,000달러 배당 가정):
  • 미국: 1,000달러 × 15% = 150달러 세금 → 세후 850달러 수령.
  • 한국: 850달러 × 15.4% ≈ 131달러 추가 세금 (2,000만원 이하 기준).
  • 총 세금: 약 281달러 (28.1%). 조약 공제로 미국 세금 일부 환급 가능.
항목
세율
비고
미국 원천징수세
15% (조약 적용)
W-8BEN 제출 필수
한국 배당소득세 (기본)
15.4%
연 2천만원 이하 자동
종합소득세
14~42% + 지방세
2천만원 초과 시 신고
총 효과 세율
25~40% (공제 후)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다름
4. 2025년 최신 업데이트: 트럼프 법안과 세제 변화
  • 트럼프 '보복세': 미국 기업에 대한 한국 세금(예: 법인세)이 높다고 보고, 외국인 배당세를 35%까지 올리는 법안. 2025년 6월 하원 통과 가능성 높아 한국 투자자 타격.
  • 한국 세제 개혁: 2025년부터 글로벌 최저한세(DMTT) 도입으로 다국적 기업 배당세 강화. 개인 투자자는 큰 영향 없으나, ETF 배당 시 주의.
  • IRS 변화: 2024년 8월부터 30% 기본세 적용 강화. 한국 투자자는 조약으로 보호되지만, 서류 미비 시 문제.
5. 절세 팁: 세금을 최소화하는 실전 전략
  • W-8BEN 제출: 증권사 앱에서 즉시 처리. 15% 적용으로 15%p 절감.
  • ISA/연금계좌 활용: 중개형 ISA나 연금저축펀드에서 배당세 유예(최대 200만원 비과세).
  • 환급 청구: 미국 IRS Form 1040-NR로 15% 중 일부 환급. 한국 국세청에서 외국세액공제 신청.
  • ETF 선택: 배당 ETF(예: SCHD)보다는 성장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세무 도구: HomeTax(국세청)나 TurboTax(미국) 앱으로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마무르기: 배당 투자의 매력을 지키려면?미국 주식 배당은 장기 투자자에게 '현금 흐름'의 매력이지만, 세금이 25~35%를 갉아먹을 수 있어요. 특히 2025년 법안 변화로 더 복잡해질 전망입니다. 하지만 조약과 공제를 잘 활용하면 충분히 관리 가능하죠!이 글 도움이 되셨나요? 댓글로 당신의 배당 투자 경험 공유해주세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미국 ETF 세금 비교'로 찾아뵐게요. 투자 성공 기원합니다! 📈(참고 자료: 국세청, IRS Publication 515, PwC Tax Summaries 등. 최신 정보는 공식 사이트 확인)